> CEO Briefing > CEO Briefing
"CEO Briefing"은 2005년 9월부터 시작한 소보고서로 신속한 현안 분석과 대응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.
대구 4차 순환도로 개통 효과와 향후 과제
■ 대구 35년의 숙원, 4차 순환도로 완전 개통
○ 대구는 주변도시를 연결하는 8개의 방사형 도로가 도심을 통과함에 따라 주요 교차로 지·정체로 인한 물류수송 및 시민들의 이동에 불편을 초래해 왔다. 대구시는 1987년 도로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국도와 고속도로를 연결하는 4차 순환도로 계획을 마련하여 사업을 추진해 온 결과, 달서구~동구 단절구간인 대구외곽순환도로가 지난 3월 31일 개통되어 마침내 대구 4차 순환도로가 완성되었다.
○ 이번에 개통된 구간은 총 연장 32.91km, 왕복 4차로 고속도로이며 분기점 2개소와 나들목은 8개소이다. 왕복 4차로 고속도로는 일반적으로 제한속도 100km/h 이상임에도 불구하고 제한속도는 80km/h로 한국도로공사가 운영 및 관리하게 된다.
○ 승용차 기준 통행요금은 달서IC에서 율암IC까지 하이패스 이용 시 연계요금 적용으로 2,200원, 현금 이용 시 연계요금 미적용으로 3,000원이 부과된다. 또한 출퇴근 시간대에 20~50%의 할인 혜택이 적용되어 출·퇴근 시 대구시 도심혼잡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.
■ 도심 혼잡 5.6% 개선,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
○ 교통량 시뮬레이션 결과,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개통은 대구시 고속도로의 교통혼잡도(V/C)를 9.64% 감소시키고 일반도로는 5.59%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, 도심을 통과하던 차량 흐름이 대구 외곽으로 분산됨에 따라 도심 교통혼잡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.
○ 지역별 화물차량 이용 분포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, 대구국가산단과 테크노폴리스가 위치한 달성군의 이용비중이 24%로 가장 높고 성서산단이 위치한 달서구의 이용비중이 16%로 높게 나타나 4차 순환도로 개통으로 대구시 서남부권 지역 대규모 산업단지의 물류 수송이 원활해짐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.
■ 램프업(Ramp-Up) 기간을 고려한 단·장기적 이원화 개선책 마련 필요
○ 신규 교통시설의 건설 이후 일정기간 동안 노선에 대한 인지도가 낮고 통행패턴이 안정화되어 있지 않아 초기 몇 년간 교통량 변동성이 높게 나타나는 Ramp-Up 현상은 일반적으로 2~3년 이상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코로나19의 영향으로 4차 순환도로의 경우는 일반적인 기간보다 길어질 것으로 예상된다. 따라서 초기 몇 년간 안정화 될 때까지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단·장기적인 이원화 개선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.
○ 유천네거리, 팔거교삼거리, 율하역교차로 등 대구시 내부의 일반도로와의 교차지점에서 지·정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신호현시 및 신호주기 등 신호체계 최적화와 같은 저비용의 단기적 방안 마련을 통한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.
○ 반면, 호국로 일부 구간, 범안로의 반야월로 교차 구간 등 일부 평면교차로에서는 신호체계 보완 등으로는 개선이 어려우므로 입체화 또는 우회로 건설 등 시설 지향적인 장기적 대책 마련이 바람직할 것이다.
■ 교통서비스 형평성 제고와 불균형 해소도 남은 과제
○ 4차 순환도로의 물리적 특성상 대구시 모든 지역의 이동편의를 골고루 향상시키기는 어렵지만 남구 및 서구가 타 지역보다 혜택을 적게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. 또한 4차 순환도로는 유·무료 구간이 혼재되어 거주지와 출·도착지에 따라 부가적 비용지출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교통서비스 형평성을 제고함으로써 지역 간 균형발전을 모색해야 한다.
○ 국내 왕복 2차로 고속도로는 대부분 제한속도 80km/h, 왕복 4차로는 100km/h 이상으로 설계되므로 한국도로공사에서는 왕복 2차로 고속도로에 대해서는 50% 할인을 적용하고 있다. 반면에 대구외곽순환도로는 제한속도 80km/h로 왕복 2차로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왕복 4차로 요금을 적용되고 있어 통행요금 50% 할인 적용을 위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.
* 더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.
* 내용 문의 : 서상언 부연구위원 (seose@dgi.re.kr)053-770-5146
김수성 연구위원 (sskim@dgi.re.kr)053-770-5156